HOME > 중증장애인직업재활 > 사업주요내용
구분 | 주요 내용 |
---|---|
직업상담 | 직업상담은 초기면접에서부터 종결까지 직업재활과정에서 장애인의 정보수집, 재활계획수립, 의사결정, 문제해결, 사례관리 등을 위해 실시하는 전반적인 상담활동으로써 장애인의 직업선택과 직업유지를 지원 |
직업평가 | 직업평가는 장애인의 직업적 흥미, 적성, 강점, 제한점 및 잠재능력을 파악·분석하기 위해 신체능력평가, 심리평가, 직업표본평가, 상황평가, 현장평가 등을 실시하는 직업재활서비스로써,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업재활 방향을 설정하고 효과적으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 |
직업적응훈련 | 직업적응훈련은 장애인이 실제적인 작업환경에서 적절한 행동, 가치, 태도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개인 · 사회생활, 작업준비 · 직업수행, 직무능력향상 · 직업유지 등에 대한 훈련을 통하여 도달 가능한 직업능력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|
현장중심직업훈련 | 현장중심직업훈련은 일반 노동시장으로 취업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내 사업체에서 훈련지원인과 함께 특화된 직업훈련 및 취업지원 서비스를 통해 직업능력을 향상하여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|
취업알선 | 취업알선은 구직 장애인의 흥미, 직업적 욕구, 직업능력과 사업체의 직무 등을 고려하여, 직장을 알선하여 배치함으로써 일반고용, 지원고용, 보호고용, 자영업 등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활동 |
취업 후 적응 지원 | 취업 후 적응지원은 장애인이 취업된 이후 장애인, 사업주나 동료, 가족 등을 대상으로 직장 내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로 취업장애인의 고용안정 및 만족스러운 직장생활 유지를 도모 |
직업재활서비스 기관 및 시설이 아닌 실제 근무하는 사업체 현장에서 전환기 장애청소년 및 미취업 성인을 대상으로 직무훈련을 실시, 이를 통해 중증장애인의 취업률을 제고하고 취업유지율을 높이기 위한 사업
현장중심직업재활센터 사업소개 | KBS 공익 캠페인 홍보 동영상 |
---|---|
-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을 수행하는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신규교육, 보수교육, 직업평가도구교육, 중간관리자 교육, 특화직종전문가교육 등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전문인력의 역량 강화 및 전문성 제고
구분 | 교육대상 | 교육횟수 | |
---|---|---|---|
사업공유 및 평가 | 사업설명회 | 수행기관 ․ 유관기관 담당자 | 1회 |
평가대회 | 전문인력 및 중간관리자 등 | 1회 | |
직급별 교육 | 신규교육 | 신규인력 및 신규교육 미이수 전문인력 | 3회 |
보수교육 | 신규교육 기이수 전문인력 | 5회 | |
관리자교육 | 중간관리자교육 | 중간관리자(5년차 이상 전문인력) 등 | 1회 |
최고관리자교육 | 기관장(국장급 이상) 등 | 1회 | |
직무역량교육 | 직업평가도구교육 | 전문인력 등 | 3회 |
예산정산교육 | 전문인력 등 | 1회 | |
훈련지원인 교육 | 신규교육 | 신구인력 및 신규교육 미이수 훈련지원인 | 2회 |
보수교육 | 신규교육 기이수 훈련지원인 | 2회 |
- 직업재활 분야의 실증적 분석과 연구를 통해 정책대안 및 서비스 개선방안 마련, 현장적용 및 보급을 통해 직업재활 서비스의 내실화
- 직업재활사업수행기관에서 필요한 연구사업을 지원하여 현장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, 연구결과를 기관 간 공유하여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지원사업의 효과성 증대
- 사업수행기관의 질적 수준을 체계적으로 판단하고, 효율성 및 효과성 평가를 통한 사업의 운영방향을 정립하여 사업의 이해 및 서비스 수준 향상 도모
- 사업수행기관의 서비스 수준을 정량․정성평가로 실시하여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 수준향상과 전문성 제고
- 중점사업에 대한 방송·언론매체 홍보를 통하여 대중의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의 인지도 강화 및 이미지개선 도모
- 홍보가이드 및 서비스 브로슈어 제작 및 배포를 통하여 사업 홍보물 활용 및 수행기관 자긍심 제고
- 중증장애인지업재활지원사업 고객만족도 조사를 통한 의견수렴 및 반영 등